여행 이야기 2025. 2. 8. 16:26

중국에 있는 우리의 유적지-4-

728x90
반응형

 길림성(吉林省)천추묘(千秋墓)와 장군총(將軍塚)
천추묘와 장군총은 고구려 왕릉으로 중국 국가 중점 문물 보호 단위이다.
 
천추묘千秋墓)

고구려시대의 돌무덤 입구

 
지린 지안둥거우 (集安洞沟고분지구(古墓区内에 위치하고 있다.
천추묘의 구조는 계단식 제단 적석묘(积石墓로 평면은 거의 정사각형에 가깝고, 한 변의 길이는 85.80미터이며, 높이는 약 15미터이다.
천추묘는 6000여㎡의 부지에 수만㎥의 석재를 사용하여 장군분과 같은 방식으로 축조되었으나 장군분의 몇 배나 큰
공사를 한 고구려 무덤의 관이라 할 수 있는 고구려의 왕릉인데 제단 계단은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은 5층의 돌
로 쌓여 있고 기초 주변은 큰 돌로 둘러싸여 있다.

능위에는 현재 대량의 기와와 슬레이트 조각과 타일 조각이 남아 있으며, 그 글은 천추만세영고(千秋萬世永古)
와 보고건곤상필(保古乾坤相毕) 명문벽돌과 연화문기와당(蓮花文瓦当), 팔각형 석초(八角形石础) 등이 발견되어 고구려 18대 고국양왕(故国壤王? -391)능으로 추정된다.
 

천추묘 내부

 
장수왕릉(长寿王陵)

장군총 입구

 
장군총(將軍塚)은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 퉁구通溝의 토구자산土口子山 중허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돌무덤 石塚으로서, 중국에서는 현재 가장 완벽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돌무지무덤이다.
그곳에 광개토왕릉비가 있고 고구려의 제20대 태왕인 장수왕의 무덤, 혹은 그 부왕인 광개토대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무덤 있다
장수왕릉은 현존하는 1만 여기에 가까운 고분 중 가장 잘 보존된 석조 능묘로, 정교한 구조 설계와 정교한 공예로
인해 '동양의 피라미드'로 알려져 있다.

장수왕릉은 끝이 뾰족하고 네모난 원추형으로 정교하게 다듬어진 화강암 돌로 쌓았고, 가운데에 조약돌을 채웠다.
바닥은 정사각형에 가깝고 기단의 평균 한 변 길이는 32.22m이며 총 7단 단은 층별로 22층 돌 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묘의 높이는 13.1m이고 공통 석재는 1146개이다.
묘실은 3단 계단 위에 조성되었으며, 묘 입구는 5단 계단 중앙에 있다.
방향은 남서쪽 235도. 묘실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가로세로 약 5m, 높이 5.1m이다.
무덤의 꼭대기는 50여 톤의 거대한 돌로 덮여 있고, 무덤의 가장자리는 길이 13m 정도이며, 한쪽에 20여 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능의 둘레에는 각 변에 3개의 호분석이 있고, 각각 10여 톤의 무게가 나가며, 북쪽에는 1개가 유실되어 11개가 남아있다.
주묘의 동쪽에는 현재 1기의 배분이 남아 있는데, 형태는 주묘와 동일하고 규모는 작으며 돌집 모양이다.
사료의 분석에 따르면, 성묘에는 지위가 높은 후궁이나 근신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수왕 릉

 

필자의 장수왕릉 방문

장수왕릉을 장군총이라 부르는 이유는 장수왕이 고구려 왕조 때 왕일뿐만 아니라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싸웠기 때문에 이 능을 민간에서는 장군총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또한, 장수왕은 97세의 고령으로 유명하며, 매일 한 우물에서 삶은 계란을 마셨다고 한다.
이 우물은 지금도 관광지 내에 존재하여 관광객들을 끌어들이는 명소가 되었다.

장수왕이 마셨다는 우물

 
 

728x90
반응형